밤하늘에 수놓은 별들을 보고 있자면 괜시리 마음이 공허해지곤 하죠?
오늘은 별자리의 역사와 계절별 별자리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별자리란?
옛날옛날 오랜옛날에 사람들이 하늘을보며 반짝반짝 빛나는 점들을 이어 여러 모양을 만든 것 이라고합니다.
점들을 이어 모양을 만들어낼 생각을 한 옛날사람들, 갬성적이네요
별자리의 역사
별자리는 대략 기원전 3천년 바빌로니아 부근에서 시작된 것으로 여겨지고 있습니다.
맨 처음 생겨난 이후 그리스 로마에게로 전승되었고 별자리에 자신들의 신화에 나온 영웅, 동물 등 의 이름을 넣었다고하죠.
이는 고대 문서로도 확인이 가능합니다.
기원전 8세기경 호머와 헤소이드의 작품에 오리온 과 큰곰자리 등이 나오고
기원전 3세기 경 시인 아라투스의 파이노메나에서는 44개의 별자리 목록을 소개했습니다.
이후 대략 4~50여개의 별자리로 개수가 고정이 되어있습니다.
현재 쓰이는 별자리중 2세기 후반 그리스의 천문학자 프톨레마이오스가 정리한 48개를 기원으로 하고 있습니다.
중세에 접어들며 별자리를 성도에 나타내려는 시도가 시작되었는데 그 중
페터 아피안에 의해 맨 처음 나온 성도는 프톨레마이오스의 48개 별자리 뿐만 아니라 머리털자리와 사냥개자리를 추가하였고
그 이후 티코 브라헤, 요하네스 헤벨리우스가 조금씩 수정하였습니다.
17세기 이후로 일부 별자리가 나뉘어 졌는데, (예르들면 : 아르고자리 → 고물자리, 돛자리, 용골자리, 나침반자리 1930년)
1750년경 프랑스의 니콜라 루이 드 라카유가 남쪽하늘의 별자리를 관측,
14개의 별자리를 추가하면서 현재와 같은 88개의 별자리가 생겨났습니다.
이후 1930년 국제 천문연맹이 1875년 춘분점을 기준으로 적경과 적위를 매기고,
88개 별자리 사이의 경계를 정확히 했을 뿐만 아니라, 라틴어 이름과 약자를 정했습니다.
옛날 사람들은 점 하나하나를 보면서 어떻게 저 많은 별자리를 만들어 냈는지 신기합니다.
중복된 것도 없이 말이죠
봄철 별자리
큰곰자리
큰곰자리의 α에서 η까지의 일곱 개의 별이 북두칠성입니다.
α와 β의 간격은 약 5°4′, α와 북극의 간격은 28°1′, 따라서 β, α의 간격의 눈어림으로 약 5배한 정도가 북극입니다.
일곱 개의 별 끝에서 두 번째에 있는 별 ζ는 미자르(Mizar)라고도 불리는 2등성으로, 바로 옆에 알골이라 불리는 5등성이 붙어 있습니다.
이것은 겉보기 이중성(二重星)으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 그러나 망원경으로 보면 미자르 옆에 녹색 4등성이 나란히 있으며
더 나아가 스펙트럼을 조사하면 미자르 자체가 분광(分光) 연성임을 알 수 있습니다.
처녀자리
황도 12궁의 여섯 번째 별자리로, 하늘에서 두 번째로 큰 별자리입니다.
처녀자리에는 맨눈으로도 관측할 수 있는 쌍성인 아리크(Arich)가 있습니다.
처녀자리 부근에는 흐릿한 은하가 많이 있으며 태양은 9월 중순에서 11월 초까지 이 별자리를 지나갑니다.
신화에서는 밀 이삭을 들고 있는 처녀로 묘사하고 있는데, 이는 수확을 상징합니다.
이 별자리에서 가장 밝은 별인 스피카가 밀 이삭에 해당합니다.
봄철의 새벽 밤하늘 처녀자리의 서쪽 중천 높은 곳에 사자자리가 가로놓여 있습니다.
이 별자리는 사자를 연상시키는 모양을 하고 있으며, α별 레굴루스가 앞다리에 해당됩니다.
실시 등급 1.3등, B7형의 푸른빛으로, 정확히 황도상에 위치합니다.
2등성 γ를 비롯하여 3등성, 4등성으로 머리를 만들며, 동체 끝에는 2.1등의 데네보라가 있습니다.
아르크투루스, 스피카, 데네보라를 연결하여 만드는 거대한 삼각형을 봄의 대삼각형이라 부릅니다.
또 사자자리의 서쪽, 황도상에 게자리가 있습니다. 눈에 띄는 별이 없는 작은 별자리이지만 그 안에 있는 산개 성단 프리세페는
육안으로도 희미하게 보입니다. 사자자리 북쪽에 있는 작은사자자리도 그다지 눈에 띄지 않는 별자리입니다.
목동자리가 서쪽에 머리털자리가 남쪽, 사냥개자리가 북쪽에 있습니다.
둘다 밝은 별이 없는 별자리이지만 주위 일대는 은하계 밖의 은하의 집이라고 불릴 정도로 많은 은하가 밀집해 있습니다.
게자리의 북쪽에 있는 커다란 살쾡이자리도 실제로는 식별하기가 대단히 어려운 별자리입니다.
'생활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겨울철 별자리와 기타별자리 (0) | 2020.02.12 |
---|---|
가을철 황도상의 별자리와 기타 별자리 (0) | 2020.02.11 |
여름철 별자리 (0) | 2020.02.10 |
생물학과 역사 (0) | 2020.02.08 |
전자렌지 사용가능 플라스틱 (0) | 2020.02.05 |
댓글